바이오청과 수질강화
BIO CHUNG과 수질강화
자연의자정능력

수질의 부영양화 현상
- 물은 일정한 오염에 대하여 다시 원상으로 회복시키는 힘이 있다. 이 힘을 자정작용이라고 하는데 그 한계를 벗어나면 물은 자정능력을 잃고 부영양화 등 오염됨.
- ㆍ부영영화 현상의 개괄도

수질 오염원의 처리과정
- ㆍ오수 내의 유기물은 주로 천연 고분자인 단백질, 지질, 탄수화물과 세제성분 등이 들어 있으며, 이러한 오염물질은 유기물과 질소류로 이루어져 있다. 이러한 오염물질의 분해과정은 다음과 같다.

수질 정화방법

친환경적인 생물막 여과법
- 생물막 여과법은 자연의 정화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여과재인 담체 표면에 형성된 미생물 막(Biofilm)에 폐수를 접촉시켜 폐수 중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이다. 자연의 정화력을 인위적으로 고 효율화 시킨 처리법으로 여과재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.
- < 생물막 여과재의 조건 >
보유되는 미생물의 양은 접촉재의 재질과 표면적에 비례하므로 미생물이 부착하기 좋은 재질이고, 표면적이 넓어야 함. 폐색현상에 의한 미생물 탈리가 적어야 하며, 최대의 공극률이 유지 되어야 함. 여재 폐색현상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구조. 접촉재가 액체, 기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아야 함. 부서지거나 끊어지는 현상이 없어야 함. - <하천의 생물막과 생물막 여과재의 생물막의 차이점>
하천에서는 생물막이 바닥에만 존재하며 유수의 직선적인 흐름만 있으나. 생물막 법에서는 단위체적당 생물막의 표면적을 현저하게 증가시키고 상향류와 하향류의 혼상류 흐름을 통해 반복 접촉이 충분케 하여 처리효율을 높이고 있다. .
바이오청설치후 변화
- ㆍ여과재 표면에 미생물 막이 형성되기 시작(약 일주일 이내)
- ㆍ검정색의 여과재 표면이 미생물의 성장으로 갈색으로 변함(2주~4주)
- ㆍ수질상태에 따라 여과재 표면이 녹색으로 변함 (5주~10주).
- ㆍ약 2개월 후 먹이사슬이 형성되면 수질이 안정됨. 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