여과재의 정화작용
1.양식장 물의 오염원인
- 유기물 ( 사료 찌꺼기, 고기 배설물 포함 )
2.미생물의 생성
- 광합성에 의해 자연 생성 후 여과재에 증착
3.미생물의 성장
- 여과재에 증착된 미생물 : 유기물 분해 및 질소, 인을 먹으며 성장
4. 미생물의 작용
- 식물, 동물 플랑크톤 즉, 먹이사슬 2단계에서의 이론: (1-9/10) Χ (1-9/10) = 1%의 미분해 외 99%의 유기물 분해. 단, 생성된 미생물의 양이 적당한 경우에 한함 분해된 유기물은 물, 탄산가스로 배출됨
5.고정상 여과재의 작용
- 정화하고자 하는 물의 양의 따라 사용량을 정하여 충진했을 경우 : 적당량이의 미생물이 자연적으로 증착 되고 오염도에 따라 미생물 수가 가감 ( 그런 이유 : 먹이인 오염원 유입이 적을 때는 미생물 성장 제한 반대로, 먹이 유입이 많을 때는 활성화되어 많은 먹이 를 포식 분해함 )
6.유동상 여과재의 작용
- Ⅰ.고정상 부착되었던 미생물 폐사되면 탈리
- Ⅱ. 유속에 의해 유동상 여과재 칸으로 이동 (일부 살아있는 미생물도 이동)
- Ⅲ. 폐사한 미생물, 유기물의 분해로 발생한 물속의 암모니아,아질산,질산염 등을 브로워로 여과재를 유동시켜 밖으로 배출
여과재의 조건
1.표면적이 넓어야 한다
- – 미생물 부착이 많이 될 수 있어 다량의 유기물 처리 가능
2.통수성이 좋아야 한다
- - 통수가 잘 안되면 미생물 부착으로 인해 폐색 (막힘)이 되며 이로 인하여 표면적이 급감하여 제 기능 불가
3.청소가 용이해야 한다
- – 폐색이 될 경우 청소를 해 줘야 하므로 청소하기 쉬운 제품을 선택 해야 한다. (일정량의 미생물을 항시 유지해야 하므로 자주 청소 하는 것 또한 물의 안정에 좋지 않다)
4.소재가 튼튼해야 오래 사용할 수 있다.
- - 물 속에서 장기간 기능해야 하기 때문에 튼튼한 소재가 필요.